카테고리 없음

이성계 철퇴 미스터리! 아들 죽이려 했던 숨겨진 전말

행복노트 2025. 3. 1.

철퇴로 아들을 치려 했던 아버지,

이성계의 숨겨진 이야기

 

왕좌를 둘러싼 권력 다툼은 때로는

가족 간의 비극으로 이어지곤 합니다.

조선 건국의 아버지 이성계와 그의 아들

이방원의 이야기는 그 대표적인 예시라 할 수 있죠.

 

과연 이들 사이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오늘은 이성계가 아들 이방원에게 철퇴

휘두르려 했던 숨겨진 이야기를 파헤쳐 보겠습니다.

 

[충격] 이성계, 이방원을 철퇴로?!


이성계는 아들 이방원에게 무려 두 번이나

살해를 시도했다고 합니다. 그중 한 번은

철퇴를 사용하려 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성계는 이방원이 자신에게 술을 따를 때,

품속에 숨겨둔 철퇴로 그를 내리치려 했습니다.

하지만 그의 책사 하륜은 이성계의 심중을 꿰뚫어 보고,

예법을 핑계 삼아 환관에게 술을 대신 따르게 했습니다.

 

곤룡포를 입은 내시를 이방원으로 착각한

이성계는 철퇴를 휘둘렀고, 엉뚱하게도

내시가 목숨을 잃는 비극이 벌어졌습니다.

 

함흥차사의 전설, 그 뒤에 숨겨진 진실


이방원이 왕위에 오른 후, 이성계는 아들에

대한 깊은 미움을 품고 개경을 떠나

함흥 별궁으로 거처를 옮겼습니다.

 

이성계는 이방원이 보낸 사람들을 죽였다

전해지는데, 이 때문에 '함흥차사'라는 고사성어가 생겨났죠.

야사에 따르면, 이성계의 오랜 정신적 스승이었던

무학대사의 끈질긴 설득 끝에 이성계는 마침내 개경 궁궐로 돌아왔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숱한 갈등과 반목이

있었음은 분명합니다.

 

조사의의 난, 아버지와 아들의 전쟁


태종 즉위 후, 이성계의 분노는 극에 달했습니다.

자신의 총애를 받던 세자 이방석과 정도전 등을

이방원이 제거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이성계는 더 이상 이방원이 다스리는

궁궐에 머물 수 없었고, 함흥으로 떠나 남은

여생을 보내려 했습니다. 함흥에서 이성계는

신덕왕후 강씨의 친척인 조사의의 접근을 받았습니다.

 

조사의는 이성계의 분노를 부추기며,

이방석과 이방번의 원수를 갚고 이방원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국 1402년, 이성계는 조사의와 함께 군사를 일으켰고,

이는 '조사의의 난'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는 아버지와 아들 간의 전쟁이었던 셈이죠.

 

선죽교, 비극의 현장


이성계가 이방원을 미워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정몽주의 죽음과 관련이 있습니다.

1392년, 정몽주는 이성계를 만나고 돌아오는

길에 이방원의 심복에게 암살당했습니다.

 

이 사건이 벌어진 장소가 바로 개성에 있는

선죽교입니다. 원래 선지교라 불리던 이 다리는

정몽주가 피살된 후, 그 자리에서

대나무가 솟아났다고 하여 선죽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전해집니다.

 


지금도 선죽교에는 정몽주의 흔적이 남아있어

많은 이들이 그의 충절을 기리고 있습니다.

 

마무리


오늘 알아본 이성계와 이방원의 이야기는 어떠셨나요?

권력을 향한 욕망과 가족 간의 갈등이 빚어낸

비극은 시대를 초월하여 우리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줍니다.

 

다음에는 더욱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역사 속 진실, QnA로 알아봐요!

Q1. 이성계가 실제로 철퇴를 사용해

이방원을 죽이려 했나요?

 

A. 야사에서는 이성계가 철퇴로 이방원을 살해하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역사적 사실로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이성계와 이방원의 관계가 매우

험악했음을 보여주는 일화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Q2. 함흥차사는 정말 모두 죽임을 당했나요?

 

A. 함흥차사로 갔던 사람들 중 실제로 죽임을

당한 사람은 박순 한 명뿐이라고 합니다.

'함흥차사'라는 고사성어는 조사의의 난을 더욱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야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Q3. 선죽교는 왜 중요한 장소인가요?

 

A. 선죽교는 고려의 충신 정몽주가 이방원의

심복에게 암살당한 장소입니다.

이 사건은 이성계와 이방원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선죽교는 정몽주의 충절

상징하는 장소로 남아있습니다.

 

 

 

관련 포스트 더 보기

 

댓글